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통범칙금 미납 시 절차, 과태료 차이, 대응법 정리

by 해모리 2025. 7. 3.

한 남성이 차를 타고 달리는 사진

 

일상 속에서 한 번쯤 받아봤을 교통범칙금 고지서. 바쁘거나 잊고 있다 보면 납부기한이 지나기도 쉽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과태료 몇만 원이 아니라, 납부하지 않을 경우 벌금, 강제집행, 심지어 운전면허 정지까지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미납 교통범칙금의 실제 법적 절차부터 불이익 발생 단계, 연체 시 대처 방법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정리해 드립니다.

 

1. 범칙금과 과태료는 다르다: 개념부터 정확히

 

교통위반 시 부과되는 금전적 제재는 크게 ‘범칙금’과 ‘과태료’로 나뉩니다. 일반 운전자들은 혼동하기 쉬운데, 법적으로 완전히 다른 절차가 적용됩니다.

 

  • 범칙금: 도로교통법상 경미한 위반행위에 대해 경찰이 부과하는 형사처분 성격의 금액. 납부 거부 시 형사소송으로 이어짐.
  • 과태료: 주정차 위반, 무인단속카메라 촬영 등 행정청이 부과하는 행정처분. 납부 거부 시 행정절차로 강제징수 진행.

 

예를 들어 ‘신호위반’은 보통 범칙금(경찰), ‘주정차위반’은 과태료(지자체)로 처리됩니다.

 

이 글에서는 범칙금(경찰 부과, 형사절차로 연결되는 경우)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단, 실무에서 혼용되는 경우도 많아 과태료 연체에 대한 처리 흐름도 일부 포함합니다.

 

2. 미납 시 진행되는 법적 절차

 

범칙금 고지서를 받고도 납부하지 않을 경우, 단순 연체가 아니라 형사 절차로 전환됩니다.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면 나중에 벌금폭탄, 면허정지, 신용상 불이익까지 겪게 됩니다.

 

  1. 범칙금 고지서 발송 (경찰): 위반 확인 후 10~14일 이내 우편 발송
  2. 납부기한 경과 시 즉결심판 회부: 일정 기한 내 미납 시, 관할 법원에 형사절차(즉결심판)로 넘어감
  3. 벌금 확정: 즉결심판을 통해 벌금 부과 → 통상 10만 원~30만 원 수준
  4. 벌금 미납 시 검찰 송치: 일정 기한 이내 벌금 미납하면 검찰에서 ‘형 집행’ 절차 착수
  5. 압류·노역장유치 가능성: 강제집행 진행, 마지막엔 노역장 유치 가능성도 존재

 

반대로, 과태료는 형사절차가 아닌 행정절차로 강제징수(급여 압류, 차량 압류 등)가 진행됩니다.

실무에서 가장 흔한 사례는 “몇 년 전 받은 고지서를 무시했더니 갑자기 검찰청에서 벌금 독촉장이 왔다”는 것입니다.

 

벌금 미납 시 강제조치 예시:

  • 국세청 통한 급여 압류
  • 자동차 등록번호 압류
  • 신용불량자 등록
  • 노역장 유치: 5만 원 = 1일 기준

 

3. 연체 시 대응법: 즉시 확인하고, 이의신청 또는 분납 검토

 

미납 상태가 오래되었더라도, 납부 기한 경과 후라도 법적 대응 또는 분납 요청을 통해 불이익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① 이미 벌금이 확정된 경우

  • 검찰청 벌금계 계좌로 직접 납부
  • 분할납부 신청 가능 (지방검찰청 민원실 또는 홈페이지)
  • 생계곤란 사유 있을 시 노역장 유치 집행유예 요청

 

② 범칙금 고지서 납부 전이라면

  • 사실과 다른 경우: 이의신청 가능 (경찰서 민원실 또는 홈페이지)
  • 실수 인정하되 감경 요청 가능 (초범, 고령자, 경미위반 등)

 

③ 과태료로 넘어간 경우

  • 지자체 세외수입과로 문의하여 분납 가능
  • 자동차세·과태료 통합 압류 해제 요청도 병행 가능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난 과태료는 5년간 시효로 소멸될 수 있으며, 연체 이력만 남고 집행이 안 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만 범칙금의 경우 형사처분이기 때문에 단순시효 소멸은 어렵습니다.

 

실무 팁: 경찰청 교통민원 24 또는 ‘정부 24’에서 위반내역 및 납부현황을 온라인으로 즉시 확인 가능합니다.

 

결론: 무시할수록 손해, 조기 대응이 최선

 

구분 범칙금 과태료
부과 주체 경찰청 지자체(구청 등)
미납 시 절차 즉결심판 → 벌금 → 검찰 집행 행정절차 → 압류 → 신용불량
납부방법 경찰청 고지서, 벌금계좌 지자체 납부서
이의신청 경찰서 민원실 지자체 세외수입과
강제집행 급여·계좌 압류, 노역장 차량압류, 압류예고

 

교통범칙금은 사소해 보여도 방치하면 형사처벌, 벌금, 압류 등 직접적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고지받은 즉시 납부하거나, 이의가 있을 시 정확한 절차로 대응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단순 연체가 아니라 형사상 기록으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속하게 본인 명의의 고지 여부부터 확인해 보시길 권장합니다.